전통사찰
전통문화 > 전통사찰 게시글 상세 보기
영월암(映月庵)
- 작성자 관리자
- 등록일 2021-02-17(Wed)
- 조회 4,110
설봉산 기슭 이천시의 시가지가 한 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에 자리한 영월암은 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 (義湘大師.625-702)가 창건하여 북악사(北岳寺)라 하고 산이름도 북악(北岳)이라 하였다고 하나 이를 뒤받침할 만한 실증적 자료가 없어서 사실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.
그런데 영월암에는 보물 제822호로 지정된 (영월암 마애마애여래입상)은 고려 중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또 이천시 향토유적 제3호로 지정된 석조광배 및 연화좌대는 통일신라말에서 고려 초기작으로 추정되고 있다.
이로써 볼 때 영월암은 신라말에서 고려초기작으로 추정되고 있다.
이로써 볼 때 영월암은 신라말에서 고려시대에는 사세가 꽤 융성했음을 알 수 있다.
이렇듯 고려시대의 뛰어난 불교 유물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1531년에 편찬된 <신증동국여지승람>에는 영월암은 말할 것도 없고 이 산에 있는 어떤 사찰에 관해서도 언급하고 있지 않다. 이후 조선영조의 명으로 <동국여지승람>을 감수한바 있는 신경준(申景濬 1717∼1781)이 편찬한 <가람고(伽藍考)>에 북악사가 보이고 있다.
거의 비슷한 때인 1799년(정조23)에 정조의 명에 따라 편찬된 범우고(梵宇攷)와 1760년(영조36)에 편찬된 전국읍지인 여지도서 (與地圖書) 에도 역시 북악사라고 이름이 보인다.
이상의 사실로 볼 때 영월암(북악사)은 고려 이후 조선 중기까지 그 사세가 알려지지 않다가 조선 후기에 이르러 그 모습을 역사속에 다시 드러내고 있다.
1774년(영조50)에 영월대사(映月大寺) 낭규(朗奎)가 북악사를 중창하고 자신의 법호를 따 영월암이라 절 이름을 고쳐 불렀다고 한다.
그런데 영월암에는 보물 제822호로 지정된 (영월암 마애마애여래입상)은 고려 중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또 이천시 향토유적 제3호로 지정된 석조광배 및 연화좌대는 통일신라말에서 고려 초기작으로 추정되고 있다.
이로써 볼 때 영월암은 신라말에서 고려초기작으로 추정되고 있다.
이로써 볼 때 영월암은 신라말에서 고려시대에는 사세가 꽤 융성했음을 알 수 있다.
이렇듯 고려시대의 뛰어난 불교 유물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1531년에 편찬된 <신증동국여지승람>에는 영월암은 말할 것도 없고 이 산에 있는 어떤 사찰에 관해서도 언급하고 있지 않다. 이후 조선영조의 명으로 <동국여지승람>을 감수한바 있는 신경준(申景濬 1717∼1781)이 편찬한 <가람고(伽藍考)>에 북악사가 보이고 있다.
거의 비슷한 때인 1799년(정조23)에 정조의 명에 따라 편찬된 범우고(梵宇攷)와 1760년(영조36)에 편찬된 전국읍지인 여지도서 (與地圖書) 에도 역시 북악사라고 이름이 보인다.
이상의 사실로 볼 때 영월암(북악사)은 고려 이후 조선 중기까지 그 사세가 알려지지 않다가 조선 후기에 이르러 그 모습을 역사속에 다시 드러내고 있다.
1774년(영조50)에 영월대사(映月大寺) 낭규(朗奎)가 북악사를 중창하고 자신의 법호를 따 영월암이라 절 이름을 고쳐 불렀다고 한다.
- 첨부 파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