임신출산 진료비 지원
- 보건
- 보건사업
- 모자보건
-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
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(국민행복카드 발급)
대상자모든 임부(신청 당시 보험급여 제한·정지된 경우 제외)
지원내용
임산부가 임신·출산 관련 진료에 사용하는 의료비를 체크카드 또는 신용카드 형태의 e-바우처로 1인당 60만원씩 지원(다태아 임부 100만원)
접수처
의료급여수급권자
- 이천시청 사회복지과 생활보장팀(645-3572), 읍면동사무소
- 출산 전 진료비 지급 시 건강생활 유지비 미지급
건강보험 가입자
- NH농협, IBK기업은행, 우리은행, 우체국, SC은행, 삼성카드사, 롯데카드사 발급처
-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천지사 보험급여팀(644-0142, 0140)
신청 시 구비서류
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신청 및 임신 확인서
사용기간 및 사용 가능 의료기관
국민행복카드 수령 후 ~ 분만예정일(유·출산일)로부터 1년, 산부인과 및 한방병원
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지원
- 지원대상임신이 확인된 만 18세 이하 청소년산모(소득, 재산기준 없음)
- 지원범위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의 영유아가 요양기관에서 진료받은 급여 또는 비급여 의료비 및 처방에 의한 약제·치료재료 구입비용 중 본인부담비용
- 지원금액임신 1회 당 120만원 이내
- 지원기간카드 수령일로부터 분만예정일 이후 1년까지
- 이용절차
- 산부인과에서 임신확인서 발급
- 사회서비스바우처 홈페이지에 신청 바로가기
- 증빙서류(임신확인서, 주민등록등본) 우편 송부사회보장정보원
- 국민행복카드 발급신청 카드사로부터 카드 발급
- 카드 수령 후 지정 요양기관에서 사용
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<2019. 7. 15.부터 확대>
지원대상
- 소득기준기준중위쇠득 180% 이하 가구의 구성원인 자
- 질환기준11종 → 19종으로 확대(조기진통, 분만관련 출혈, 중증 임신 중독증, 양막의 조기파열, 태반조기박리, 전치태반, 절박유산, 양수과다증, 양수과소증, 분만전 출혈, 자궁경부무력증, 고혈압, 다태임신, 당뇨병, 대사장애를 동반한 임신과다구토, 신질환, 심부전, 자궁내 성장제한, 자궁 및 자궁의 부속기 질환)
- 신청기간분만일로부터 6개월 이내
안내사항분만결과, 자궁내 태아사망 등으로 사산한 경우도 지원대상에 포함
안내사항지원제외자 외국 국적인 자 및 국외 이주자
안내사항후원금이나 환급금이 있는 경우 후원금 및 환급금을 공제한 후 지원신청가능
19종 질환별 질환코드(하위코드 포함) 및 지원기간 | |||
---|---|---|---|
질환명 | 질환코드 | 한글명 | 지원기간 |
1. 조기 진통 | O60 | 조기진통 및 분만 | 질병 관련 입원 치료 기간 (임신주수 20주 이상, 37주 미만 |
2. 분만관련 출혈 | O67 | 달리 분류되지 않은 분만중 출혈이 합병된 진통 및 분만 | 질병 관련 입원 치료 기간 (임신주수 20주 이상) |
O72 | 분만후 출혈 | ||
3. 중증 임신중독증 | O11 | 만성 고혈압에 겹친 전자간 | |
O14 | 전자간 | ||
O15 | 자간 | ||
4. 양막의 조기파열 | O42 | 양막의 조기파열 | 질병 관련 입원 치료 기간 (임신주수 20주 이상, 37주 미만) |
5. 태반조기박리 | O45 | 태반의 조기분리[태반조기박리] | 질병 관련 입원 치료 기간 (임신주수 20주 이상) |
6. 전치태반 | O44 | 전치태반 | |
O69.4 | 전치맥관이 합병된 진통 및 분만 /전치맥관으로부터의 출혈 |
||
7. 절박 유산 | O20.0 | 절박유산 | |
8. 양수과다증 | O40 | 양수과다증 | |
9. 양수과소증 | O41.0 | 양수과소증 | |
10. 분만전 출혈 | O46 | 분만전 출혈 | |
11. 자궁경부무력증 | O34.3 | 자궁경관부전에 대한 산모관리 | 질병 관련 입원 치료 기간 |
12. 고혈압 | O10 | 임신, 출산 및 산후기에 합병된 전에 있던 고혈압 | |
O13 | 임신[임신-유발]고혈압 | ||
O16 | 상세불명의 산모고혈압 | ||
13. 다태임신 | O30 | 다태임신 | |
O31 | 다태임신에 특이한 합병증 | ||
14. 당뇨병 | O24 | 임신중 당뇨병 | |
15. 대사장애를 동반한 임신과다구토 | O21.1 | 대사장애를 동반한 임신과다구토 | |
16. 신질환 | N00-N23** | N00-N08(사구체질환) N10-N16(신세뇨관-간질질환) N17-N19(신부전) N20-N23(요로결석증) |
|
17. 심부전 | I00-I52** | I00-I02(급성 류마티스열) I05-I09(만성 류마티스심장질환) I10-I15(고혈압성 질환) I20-I25(허혈심장질환)I26-I28(폐성 심장병 및 폐순환의 질환) I30-I52(기타 형태의 심장병) |
|
18. 자궁내 성장제한 | O36.5 | 태아성장불량에 대한 산모관리 | |
19. 자궁 및 자궁의 부속기 질환 | O23.5 | 임신중 생식관의 감염 | |
O34.0 | 자궁의 선천기형에 대한 산모관리 | ||
O34.1 | 자궁체부종양에 대한 산모관리 | ||
O34.4 | 자궁경부의 기타 이상에 대한 산모관리 | ||
O34.8 | 골반기관의 기타 이상에 대한 산모관리 | ||
O41.1 | 양막낭 및 양막의 감염 |
구분 | 구비서류 |
---|---|
신청자 제출 |
안내사항전자정부법에 따라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을 통한 확인에 동의시 생략가능 |
해당자 제출 |
|
기준중위소득 180% 소득기준표
가구원수 | 소득기준 |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| ||
---|---|---|---|---|
직장가입자 | 지역가입자 | 혼합 | ||
2인 | 5,386,000 | 180,237 | 185,031 | 183,101 |
3인 | 6,967,000 | 233,076 | 249,194 | 237,652 |
4인 | 8,549,000 | 286,647 | 308,952 | 298,124 |
5인 | 10,130,000 | 343,406 | 368,522 | 368,580 |
6인 | 11,711,000 | 402,261 | 426,790 | 437,059 |
7인 | 13,301,000 | 471,545 | 495,914 | 519,517 |
8인 | 14,892,000 | 519,517 | 544,044 | 602,065 |
9인 | 16,482,000 | 602,065 | 617,910 | 767,816 |
10인 | 18,072,000 | 767,816 | 756,113 | 1,522,390 |